과월호 보기:
선택하세요
2025년 3월호 2025년 2월호 2025년 1월호 2024년 12월호 2024년 11월호 2024년 10월호 2024년 9월호 2024년 8월호 2024년 7월호 2024년 6월호 2024년 5월호 2024년 4월호 2024년 3월호 2024년 2월호 2024년 1월호 2023년 12월호 2023년 11월호 2023년 10월호 2023년 9월호 2023년 8월호 2023년 7월호 2023년 6월호 2023년 5월호 2023년 4월호 2023년 3월호 2023년 2월호 2023년 1월호 2022년 12월호 2022년 11월호 2022년 10월호 2022년 9월호 2022년 8월호 2022년 7월호 2022년 6월호 2022년 5월호 2022년 4월호 2022년 3월호 2022년 2월호 2022년 1월호 2021년 12월호 2021년 11월호 2021년 10월호 2021년 9월호 2021년 8월호 2021년 7월호 2021년 6월호 2021년 5월호 2021년 4월호 2021년 3월호 2021년 2월호 2021년 1월호 2020년 12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9월호 2020년 8월호 2020년 7월호 2020년 6월호 2020년 5월호 2020년 4월호 2020년 3월호 2020년 2월호 2020년 1월호 2019년 12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9월호 2019년 8월호 2019년 7월호 2019년 6월호 2019년 5월호 2019년 4월호 2019년 3월호 2019년 2월호 2019년 1월호 2018년 12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9월호 2018년 8월호 2018년 7월호 2018년 6월호 2018년 5월호 2018년 4월호 2018년 3월호 2018년 2월호 2018년 1월호 2017년 12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9월호 2017년 8월호 2017년 7월호 2017년 6월호 2017년 5월호 2017년 4월호 2017년 3월호 2017년 2월호 2017년 1월호 2016년 12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9월호 2016년 8월호 2016년 7월호 2016년 6월호 2016년 5월호 2016년 4월호 2016년 3월호 2016년 2월호 2016년 1월호 2015년 12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9월호 2015년 8월호 2015년 7월호 2015년 6월호 2015년 5월호 2015년 4월호 2015년 3월호 2015년 2월호 2015년 1월호 2014년 12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9월호 2014년 8월호 2014년 7월호 2014년 6월호 2014년 5월호 2014년 4월호 2014년 2월호 2014년 1월호 2013년 12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6월호 2013년 5월호 2013년 4월호 2013년 3월호 2013년 2월호 2013년 1월호 2012년 12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9월호 2012년 8월호 2012년 7월호 2012년 6월호 2012년 5월호 2012년 4월호 2012년 3월호 2012년 2월호 2012년 1월호 2011년 12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9월호 2011년 8월호 2011년 7월호 2011년 6월호 2011년 5월호 2011년 4월호 2011년 3월호 2011년 2월호 2011년 1월호 2010년 12월호 2010년 11월호 2010년 10월호 2010년 9월호 2010년 8월호 2010년 7월호 2010년 6월호 2010년 5월호 2010년 4월호 2010년 3월호 2010년 2월호 2010년 1월호 2009년 12월호 2009년 11월호 2009년 10월호 2009년 9월호 2009년 8월호 2009년 7월호 2009년 6월호 2009년 5월호 2009년 4월호 2009년 3월호 2009년 2월호 2009년 1월호 2008년 12월호 2008년 11월호 2008년 10월호 2008년 9월호 2008년 8월호 2008년 7월호 2008년 6월호 2008년 5월호 2008년 4월호 2008년 3월호 2008년 2월호 2008년 1월호 2007년 12월호 2007년 11월호 2007년 10월호 2007년 9월호 2007년 8월호 2007년 7월호 2007년 6월호 2007년 5월호 2007년 4월호 2007년 3월호 2007년 2월호 2007년 1월호 2006년 12월호 2006년 11월호 2006년 10월호 2006년 9월호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6년 6월호 2006년 5월호 2006년 4월호 2006년 3월호 2006년 2월호 2006년 1월호 2005년 12월호 2005년 11월호 2005년 10월호 2005년 9월호 2005년 8월호 2005년 7월호 2005년 6월호 2005년 5월호 2005년 4월호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5년 1월호
황금돼지 모아 태산
기해년을 맞이한 간판
2019 기해년(己亥年)이 돌아왔다. ‘황금돼지’ 해를 맞이한 새해는 모든 일이 잘 풀리길 소망하는 마음을 가득 담아 돼지 간판을 모았다! 복도 배도 불려주는 고마운 돼지와 재물을 상징하는 황금색은 올 한해 무궁한 발전을 기대하게 한다. ‘꿀꿀’ 돼지야, 고맙지만 이제 배로 들어가 주렴. ‘꿀맛’ 나는 돼지 간판으로 새해를 활기차게 시작해보자.
▲ ‘금 돼지 식당’이라는 이름만으로 충분한 간판. 황금돼지 해의 메인으로 손색이 없다. 이름처럼 돼지 중에서도 고급돼지를 취급한다는 가게 앞은 매일 줄을 선 손님들로 북적거린다. 저녁이 되면 금 돼지 간판이 조명을 받아 더욱 반짝거린다. ▲ 돼지요리 전문점 ‘디딤이’의 포인트는 뒤돌아 앉아있는 돼지다. 그리고 판정등급을 매기듯 도장처럼 찍힌 빨간 각인이 돋보인다. 전체적으로 노란색으로 통일감을 주고, 입체감을 살려 간판을 구성했다. ▲ 솔직히 말해 이 건물을 지날 때면 ‘돼지’밖에 보이지 않는다. 다양한 간판들 사이에서 이 돼지 조형사인에 눈길이 먼저 간다. 옥상에서 얼굴을 내밀고 있는 돼지, 아래층에 나란히 앉은 새끼돼지들과 앙증맞은 큰 돼지까지. 이색적인 조형 사인은 어디서나 시선을 끈다. ▲ 날이 어두워지는 어느 날, 가게 앞 등에는 하나둘씩 불이 들어오기 시작한다. 그때 반짝하고 켜지던 등. 코를 보니 돼지가 맞다. 그런데 희한하게 등불에는 양꼬치라고 적혀있다. 속임수가 틀림없다. 무엇이 됐든 등불은 자연스럽게 가게로 유인하는 멋진 사인이 됐다. ※위의 내용은 기사의 일부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사인문화 1월호를 참고하세요.
<SignMunhwa>
위 기사와 이미지의 무단전제를 금지합니다.